본문 바로가기

Finance

XLC ETF – 미국 플랫폼 기업 투자 (통신,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반응형

 

 

 

 

 

XLC (Communication Services Select Sector SPDR Fund)는 미국 S&P 500에 포함된 기업중에 글로벌 산업분류기준 (GICS)에 따라 미국 통신 및 미디어, 엔터테인먼트로 분류된 회사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운용사인 State Street Corporation은 미국 금융 서비스 및 은행 지주 회사로 Vanguard, Blackrock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3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입니다.

 

 

 

▲사진 : State Street Corporation

 

 

 

1993 최초의 ETF (exchange-traded fund)인 SPDR S&P 500 Trust ETF (SPY)를 만들었으며 대표적인 ETF로는 미국 S&P 인덱스 펀드 SPY, 금 현물에 투자하는 GLD, 다우존스 지수를 추종하는 DIA 등이 있습니다.

 

 

 

XLC ETF는 영화와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광고 등의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기업으로 넷플릭스, 디즈니, 페이스북 등이 포함됩니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온라인 상에서 수요와 공급이 발생하는 일종의 네트워크 또는 생태계라고 설명할 수 있는데요. 소비자에게서 정기 구독료를 수취하고 그에 합당한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디즈니와 같은 미디어 기업들과 협업 관계를 유지하는 넷플릭스가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빅테크 기업
▲ 출처 : nexteconomy

 

 

 

넷플릭스의 경우, 콘텐츠 제작자와 수요자를 연결해주는 중간자로서 기업의 매출을 확보하고 있는데요. 같은 맥락에서 생각하면,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광고시장을 형성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페이스북과 트위터,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유투브를 기반으로 광고 수익을 확보하고 있는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에 속하게 된 이유를 가늠하실 수 있습니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의 발전은 기업의 지적 재산권 확보와 기술의 발전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5G 네트워크의 상용화가 이루어짐에따라 소비자의 온라인 접근성은 급속하게 증가할 것이고, 이에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성 또한 부각될 것입니다.

 

 

 

 

XLC펀드 보수는 0.13 %로 매우 저렴한 편이며 관련 ETF인 뱅가드에서 운영하는 VOX(0.10%)도 비슷한 보수율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운용자산은 $ 12.17B으로 VOX ($ 3.27B) 보다 약 4배 더 규모가 큽니다. 배당률은 0.68 % 정도이며 일년에 네 번 배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XLC ETF의 최근 분배금 내역으로 3, 6, 9, 12에 분기 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출처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출처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섹터는 인터넷을 이용한 미디어와 서비스 부분이 48 %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엔터테인먼트, 통신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XLC ETF100 % 미국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출처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XLC ETF의 상위 10개 기업을 보면 페이스북, 구글(알파벳), 블리자드, 넷플릭스 등 플랫폼 기반의 통신, 광고, 미디어 업체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페이스북과 구글의 비중이 20 % 이상으로 상당히 높기 때문에 개별 주식 가격이 부담되셨던 분들이라면 XLC ETF를 통해 투자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XLC ETF의 상위 10개 기업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페이스북

 

1. 페이스북 (FB) 21.64 % :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 통해 연결 및 공유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주력. 다양한 플랫폼 및 장치에 걸쳐 사용자와 기업 모두에게 커뮤니케이션을 제공 [시가총액 : 846]

 

 

 

 

구글

 

2. 구글 - 알파벳 Class A (GOOGL) 11.47 % : 광고, 디지털 콘텐츠 판매,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오퍼링, 하드웨어 제품 판매 [시가총액 : 660]

 

 

 

 

 

3. 구글 - 알파벳 Class C (GOOG) 11.08 % : 광고, 디지털 콘텐츠 판매,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오퍼링, 하드웨어 제품 판매 [시가총액 : 628]

 

 

 

 

엑티비전블리자드

 

4. 액티비전 블리자드 (ATVI) 4.87 % : 비디오 게임 콘솔, PC 및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게임 플랫폼에 걸쳐 콘텐츠와 서비스를 개발 [시가총액 : 78]

 

 

 

 

넷플릭스

 

5. 넷플릭스 (NFLX) 4.71 % : 인터넷 텔레비전 네트워크 제공업체. 국내 스트리밍, 국제 스트리밍, 미국 DVD 서비스 제공 [시가총액 : 259]

 

 

 

 

 

 

6. 차터 커뮤니케이션 (CHTR) 4.55 % :  미국의 케이블 사업자이자 광대역통신 서비스 회사. 주거 및 비즈니스 고객에게 비디오, 인터넷 및 음성 서비스를 제공 [시가총액 : 143]

 

 

 

 

 

7. T-모바일 (TMUS) 4.53 % : 고객에게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범위한 무선 장치 및 액세서리와 더불어 고객에게 저렴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 [시가총액 : 182]

 

 

 

 

컴캐스트

 

8. 컴캐스트 (CMCSA) 4.52 % :  미디어 및 기술 회사. 주요 사업인 방송 케이블과 NBCUniversal가 있다. [시가총액 : 260]

 

 

 

 

디즈니

 

9. 월트 디즈니 (DIS) 4.50 % : 세계적인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미디어 네트워크, Parks Experiences 및 제품, Studio Entertainment, Direct-To-Consumer International의 네 가지 사업 부문으로 운영된다.

[시가총액 : 356]

 

 

 

 

버라이즌

 

10. 버라이즌 (VZ) 4.35 % : 소비자, 기업 및 정부 기관에 통신,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 [시가총액 : 264]

 

 

 

 

5세대(5G) 이동통신이 글로벌 메가트렌드 기술로 부상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미국 중국 일본 등에서도 5G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용화 함에 따라 국내외 통신시장이 ‘빅 사이클’을 맞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XLC ETF5G와 관련된 서비스 사업자 전반에 투자할 수 있는 펀드이며 미국 대표 플랫폼 업체인 페이스북과 알파벳 넷플릭스, 디즈니, 통신서비스 업체 AT&T와 버라이즌 등과 같이 콘텐츠 생성에서 보관·유통에 이르는 밸류체인 전반에 모두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ETF 입니다.

 

 

 

반응형